부스트코스/5. 메모리

[CS50] 5.6 메모리 할당과 해제

fromslow 2021. 2. 6. 22:11

free

malloc 함수로 메모리를 할당한 후에는 free 함수로 메모리를 해제해야한다.

해제하지 않으면 '메모리 누수'가 일어나 메모리 낭비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valgrind

valgrind를 사용하면 메모리와 관련한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실행한다.

valgrind ./filename

 


 

#include <stdlib.h>

void f(void)
{
    int *x = malloc(10 * sizeof(int));
    x[10] = 0;
}

int main(void)
{
    f();
    return 0;
}

위 예제코드의 f 함수는 먼저, 변수 x에 int형(정수형)의 크기 4바이트의 10배인 40바이트를 할당하고 있다.

그런데 x[10] = 0에서 버퍼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키고 있다. (버퍼는 배열을 의미한다.)

0부터 9번 인덱스까지의 10개의 int배열을 만들었는데 이를 넘어선 10번 인덱스에 접근하고 있다.

즉 할당한 메모리 크기를 초과해서 접근하고 있다.(=버퍼 오버플로우)

 

이를 그대로 valgrind로 실행하면 버퍼 오버플로우와 메모리 누수 2가지의 에러메세지가 뜬다.

버퍼 오버플로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x[9] = 0으로 할당하고,

메모리 누수는 free 함수를 이용해서 메모리를 해제하면 해결된다.

 

 

 

 

 

 

 

 

 

출처: www.boostcourse.org/cs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