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란? :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정보)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 월드 와이드 웹(www)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이다. 자원이란 해당 소프트웨어가 관리하는 모든 것을 의미, 상태의 전달은 데이터가 요청되어지는 시점에서 자원의 상태(정보)를 전달한다. 주로 JSON이나 XML 형식이다. REST의 구체적인 개념은 HTTP URI을 통해 자원을 명시하고, HTTP Method(POST, GET, DELETE, PUT)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 오퍼레이션을 적용하는 것이라고 할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고 다시 서버에서 정보를 받아오는 응답을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HTTP 서버가 80번 포트에서 요청을 기다리고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80번 포트로 요청을 보내게 된다. HTTP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로 보안처리가 되어있지 않다. 그래서 HTTP로 비밀번호나 주민등록번호 등을 주고 받으면 제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
- Total
- Today
- Yesterday
- 비구조화할당
- 동기처리
- float
- capturing
- intersectionObserver
- HTML
- 포인터
- CSSOM
- valgrind
- sr-only
- Big Ω
- 이벤트위임
- vanillajs
- 문자열
- overflow
- RenderTree
- CSS
- Typography
- Dom
- 연결리스트
- 구조체
- pseudo
- 프로젝트
- malloc
- 선형검색
- 선택자
- 함수
- form
- 폼
- 구조분해할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