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프=범위 1. 전역 scope -전체영역(코드 전체)에서 유효한 범위 -전역 scope에서 선언된 변수 : 전역 변수 -어떤 것으로도 둘러싸여 있지 않을 때 -let, const가 쓰이지 않은 일반적인 블록 스코프 는 모두 전역 scope이다. 가급적 사용을 자제할 것. -이유는 오류가 발생했을 때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는 대참사를 막기 위해서다. -꼭 써야한다면 값이 변경되지 않게 하는게 좋다. 2. 지역 scope -특정 영역에서 유효한 범위 -지역 scope에서 선언된 변수 : 지역 변수 ①블록 scope : 블록 안에서만 유효한 범위 블록 : 중괄호로 표시된 범위 ②함수 scope : 함수 안에서 유효한 범위 자바스크립트에서 기본이 됨

함수 -프로그래머가 임의로 정한 코드의 실행단위 -프로그래머가 임의로 구획한 코드의 동작단위 -짧고 간결하게 제 기능 하나만을 잘 수행하는 코드(함수)가 잘 만든 것이라 할 수 있다. 인자 : 함수의 원인이 되는 데이터 리턴 : 함수의 결과물 즉, 함수는 인자를 받아들여 코드를 실행한 후 결과를 리턴해준다. ** 인자는 여러 개일 수 있다. 인자와 리턴값은 없을 수도 있다. (단순히 실행만 할 경우) 자바스크립트에서 리턴값은 0개이거나 1개이다. 함수 표기법 function 함수이름 (인자,인자,...) { // 동작 코드 return 리턴값 } ①인자가 하나 ②인자가 두 개 리턴 : 값을 반환함 출력 : 반환하지 않고 그대로 출력만 함 ③생성자 함수로 객체 만들기 var 객체명 = new 생성자함수(인..
- Total
- Today
- Yesterday
- Big Ω
- 구조분해할당
- 함수
- 이벤트위임
- 폼
- 선형검색
- RenderTree
- pseudo
- float
- CSS
- intersectionObserver
- 비구조화할당
- 포인터
- 동기처리
- overflow
- 문자열
- valgrind
- form
- sr-only
- 연결리스트
- 구조체
- 선택자
- Dom
- vanillajs
- Typography
- malloc
- HTML
- 프로젝트
- capturing
- CSSO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