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트라이는 트리 형태의 자료 구조로 각 노드가 배열로 이루어져있다.

 

예를 들어 Harry라는 영어 알파벳으로 된 문자열이 있으면

이 노드는 a부터 z까지 값을 가진 배열이 된다.

배열의 각 요소, 즉 알파벳은 다음 층의 노드(a-z 배열)를 가리킨다.

(h,a,r,r,y)

 

 

트라이를 이용했을 때 검색시간은 O(n)이다.

각 문자를 보며 탐색하면 되므로 문자열의 길이만큼이 된다.

하지만 보통 이름들은 그렇게 크지 않은 상수값이기 때문에 O(1)로 보면 된다.

 

 

이렇게 트라이는 검색 시간이 O(1)로 짧지만,

그만큼 메모리를 엄청 많이 잡아먹는다.

 

 

 

 

 

출처: www.boostcourse.org/cs112

 

'부스트코스 > 6.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0) 2021.02.20
[CS50] 6.9 스택, 큐, 딕셔너리  (0) 2021.02.20
[CS50] 6.7 해시 테이블  (0) 2021.02.20
[CS50] 6.6 연결 리스트: 트리  (0) 2021.02.20
[CS50] 6.5 연결 리스트: 장단점  (0) 2021.02.2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