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pi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출처: 위키백과
예를 들면, 브라우저에서 경고창을 띄우는 것을 생각해보자.
이는 내가 직접 자바스크립트에서 경고창을 만들어서 띄우는 것이 아니다.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기능 중에 하나인 alert만 입력하면 브라우저에서 경고창을 띄울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 alert가 api인 것이다.
우리는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이 이미 브라우저 등이 제공하는 api를 갖다가 쓰면 되는 것이다.
다른 예시를 들어보면,
Window.innerHeight는 윈도우 창의 높이(세로 길이)를 반환하는 api이다.
Element.getBoundingClientRect()는 element 오브젝트 안에 들어있는 api로,
요소의 width,height, top,bottom,left,right, 요소의 좌표 등
요소의 크기와 위치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위의 두 예시처럼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는 api를 web api라고 하고,
공공데이터포털과 같이 누구든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api를 open api라고 한다.
그 외에 구글지도 api, 한국영화진흥위원회 api 등 기업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open api가 있다.
api에 대한 설명이 잘 된 블로그가 있어 아래에 출처를 남긴다.
https://velog.io/@won-developer/API-%EB%9E%80
API 란?
API에 대한 나의 생각을 문서화 해보려한다.내가 생각 하는 것이 100% 정답은 아닐 수 도 있다.API에 대해 알아 보기 전에 우선 UI에 대해 짚고 넘어 가려 한다.ui image구글에서 UI라고 검색 해 보았다.
velog.io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OM(CSS Object Model) (0) | 2020.11.30 |
---|---|
DOM(Document Object Model) (0) | 2020.11.29 |
Promise, Async & Await (0) | 2020.08.01 |
예외처리 (0) | 2020.07.31 |
모듈 (0) | 2020.07.30 |
- Total
- Today
- Yesterday
- CSS
- vanillajs
- Big Ω
- 이벤트위임
- 선택자
- pseudo
- 동기처리
- Dom
- 연결리스트
- 구조체
- RenderTree
- 포인터
- capturing
- 프로젝트
- sr-only
- 폼
- valgrind
- form
- Typography
- HTML
- 구조분해할당
- overflow
- malloc
- 문자열
- 함수
- 선형검색
- float
- intersectionObserver
- CSSOM
- 비구조화할당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