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var의 문제점
-함수 스코프 : 블록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변수가 되므로 전역변수가 너무 많아진다.
-중복된 이름 선언 가능 : 의도치 않게 값의 변경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변수의 불변성이 보장X : 유동적인 값을 담는 변수 vs 너무 중요해서 값이 바뀌면 안되는 변수에 대한 구분이 없다.
이러한 var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es6에서 let과 const가 등장한다.
let
-변수의 중복 선언 X 즉, 동일한 이름으로 변수를 선언할 수 없다.
-블록 레벨 스코프
-변수의 값 자체를 재할당하는 것은 가능하다.
const
-변수의 중복 선언 X 즉, 동일한 이름으로 변수를 선언할 수 없다.
-블록 레벨 스코프
-변수의 값을 재할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값이 변경되면 안될 때 사용
-객체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여기서는 틀은 바꿀 수 없지만 속성값은 바꿀 수 있다.
정리
언제든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는 let
변할 일이 없으면 기본적으로 const
앞으로 변수 선언은 let & const를 쓰자!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살표 함수 (0) | 2020.07.27 |
---|---|
템플릿 리터럴 (0) | 2020.07.27 |
Callback 함수 (0) | 2020.07.25 |
DOM (0) | 2020.07.25 |
this (0) | 2020.07.24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vanillajs
- CSSOM
- 문자열
- 연결리스트
- Big Ω
- malloc
- 구조체
- 선형검색
- float
- 프로젝트
- pseudo
- sr-only
- CSS
- 동기처리
- HTML
- 포인터
- RenderTree
- Typography
- 함수
- valgrind
- overflow
- capturing
- Dom
- 구조분해할당
- 이벤트위임
- intersectionObserver
- 비구조화할당
- form
- 폼
- 선택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