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문서 객체 모델(The Document Object Model, 이하 DOM) 은 HTML, XML 문서의 프로그래밍 interface이다.
DOM은 문서의 구조화된 표현(structured representation)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그들이 문서 구조, 스타일, 내용 등을 변경할 수 있게 돕는다.
내장함수
①단일접근
-getElementById : id를 기준으로 DOM Element에 접근
-getElementByName : name을 기준으로
-getElementByClass : class를 기준으로
-getElementByTagName : 태그를 기준으로
.innerHTML : 가지고 온 DOM 객체에 해당하는 날 것 그대로의 HTML 전체를 출력
.innerText : 태그를 제외한 텍스트에 해당하는 것만 출력
var var1 = document.getElementById("goorm");
②getAttribute : 태그의 속성값에 접근
var1.getAttribute("href");
는 href의 속성값에 접근한다.
③setAttribute : 태그 속성의 특정값을 세팅
이는 두개의 인자를 받는다.
첫번째는 속성, 두번째는 세팅 할 속성값
속성에 이 속성값을 넣어주세요
=
var1.setAttribute("href", "https://edu.goorm.io")
④다중접근
getElementsByTagName 등
-input 태그를 다룰 때 자주 쓰임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수 (0) | 2020.07.27 |
---|---|
Callback 함수 (0) | 2020.07.25 |
this (0) | 2020.07.24 |
Scope (0) | 2020.07.24 |
객체로서의 함수 (0) | 2020.07.22 |
- Total
- Today
- Yesterday
- pseudo
- form
- 프로젝트
- float
- 폼
- vanillajs
- capturing
- 선형검색
- intersectionObserver
- 연결리스트
- 비구조화할당
- 선택자
- valgrind
- 구조체
- Big Ω
- HTML
- sr-only
- 구조분해할당
- 함수
- 이벤트위임
- RenderTree
- malloc
- CSSOM
- 동기처리
- 문자열
- CSS
- Typography
- Dom
- 포인터
- overflow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