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C언어
#include <stdio.h>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n");
}
#include <stdio.h> : C 표준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stdio.h을 포함한다는 의미
stdio.h 에는 표준입출력에 관한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으며,
그외의 다른 헤더파일에도 각각의 함수들이 정의되어 있다.
출처 : blog.naver.com/woncaesar/70132869811
int main(void) : 시작한다는 의미
printf(“hello, world\n”) : hello, world를 출력한다는 의미
글자나 단어를 적을 때는 항상 쌍따옴표로 감싸줘야 하고
코드의 끝을 명시하는 의미로 ;(세미콜론)을 반드시 붙여줘야한다.
\n은 줄바꿈을 의미한다.
컴파일러
내가 직접 작성한 코드를 '소스코드'라고 한다.
이 소스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으려면 컴파일을 통해 2진수인 머신코드로 변환해줘야한다.
컴파일을 하기 위해서는 터미널 창에서 $clang 파일명(ex.hello.c)를 입력하면 된다.
clang은 컴파일을 하라는 명령어다.이렇게 컴파일을 하고 나면 a.out이라는 파일이 생성되고 ./a.out을 입력하면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이 단계를 빠르게 하는 방법은 터미널 창에 make 파일명을 입력하는 것이다. 파일명에는 확장자를 뺀 파일명만 입력한다.
'부스트코스 > 2.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50] 2.3 사용자 정의 함수 (0) | 2021.01.23 |
---|---|
[CS50] 2.2 데이터 타입과 형식 지정자 (0) | 2021.01.2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문자열
- 동기처리
- 비구조화할당
- CSSOM
- valgrind
- overflow
- 연결리스트
- HTML
- Typography
- sr-only
- 선형검색
- RenderTree
- 구조체
- 선택자
- 이벤트위임
- malloc
- 함수
- intersectionObserver
- Dom
- vanillajs
- pseudo
- float
- CSS
- form
- 폼
- Big Ω
- 포인터
- 구조분해할당
- capturing
- 프로젝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