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데이터 타입
bool: 불리언 표현, (예) True, False, 1, 0, yes, no
char: 문자 하나 (예) 'a', 'Z', '?'
string: 문자열
int: 특정 크기 또는 특정 비트까지의 정수 (예) 5, 28, -3, 0
long: 더 큰 크기의 정수
float: 부동소수점을 갖는 실수 (예) 3.14, 0.0, -28.56
double: 부동소수점을 포함한 더 큰 실수
* int는 대략 40억까지 셀 수 있기 때문에 40억개 이상의 데이터를 가진 일부 거대 기업과 같은 상황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은 대부분 정수에 int를 사용합니다.
형식 지정자
변수의 인자를 받아올 때 형식 지정자가 필요하며, 아래와 같이 데이터 타입에 따라 차이가 있다.
%c : char
%f : float, double
%i : int
%li : long
%s : string
예시
C는 변수가 저장하는 데이터의 종류를 아주 정확하게 명시해줘야 한다.
string answer = get_string("what's your name?\n");
printf("hello, %s\n", answer);
(CS50 라이브러리 포함됨)
answer는 문자열 데이터를 받아오므로 변수 앞에 string이라는 자료형을 써주어야한다.
printf에서 인자를 받을 때는 %앞에 string의 s를 뒤에 붙여주어야 한다.
그 다음에 콤마 뒤에 변수명을 적어준다.
'부스트코스 > 2.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50] 2.3 사용자 정의 함수 (0) | 2021.01.23 |
---|---|
[CS50] 2.1 C기초 (0) | 2021.01.2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선택자
- Dom
- vanillajs
- 연결리스트
- 구조분해할당
- 폼
- malloc
- 비구조화할당
- sr-only
- pseudo
- HTML
- CSSOM
- valgrind
- float
- capturing
- Typography
- CSS
- intersectionObserver
- 선형검색
- 포인터
- 이벤트위임
- 문자열
- 구조체
- form
- 동기처리
- Big Ω
- overflow
- RenderTree
- 프로젝트
- 함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